반응형

전체 글 121

조건문 if

조건문은 주어진 조건이 참인지 거짓인지에 따라 주어진 명령을 수행하는 명령문이다. 조건 + 액션(행동) => 조건문의 구조를 띄고 있으며 다음과 같이 작성하는 형태이다. 하나하나 살펴보면 if 조건문: if 다음의 조건이 참인지 거짓인지 수행하고 참이면 if 명령문에 따라 명령을 수행한다. else: if 조건 판별 결과 거짓이라면 또는 if조건과 다른 결과 값이면 else가 작동하고 else 명령문에 따라 명령을 수행한다. else if: if와 조건이 다를때 바로 else문으로 가지 않고 다른 조건으로 넘어가게 해주는 함수이다. if사용시 주의할점은 파이썬의 특징인 들여쓰기를 해야한다는 점이다. if조건문중 명령문은 if조건문 하위집합으로 판별해서 명령을 수행하는데 하위 집합을 만들어 주는것이 들여쓰..

파이썬 함수 2022.11.17

비교연산자와 논리연산자

1. 비교연산자는 파이썬에서 데이터값을 비교할 때 쓰는 연산자이며 연산자를 통하여 조건에 충족하면 참(True), 충족하지 않으면 거짓(False)의 값을 반환한다. 각 비교연산자의 기호는 다음 표에 정리 되어 있다. 2. 논리연산자는 주어지 논리가 충족되면 충족하면 참(True), 충족하지 않으면 거짓(False) 값 반환 한다. 논리연산자는 AND,OR,NOT 크게 3가지가 있다. AND (어느 조건이든 전부) (=&&) AND는 어느 조건이든 전부 참이여야 참(True)이 나오고 어느 조건이든 하나라도 참이 아닐경우 거짓(False)이 된다. OR(어느 조건이든 하나만)(=||) OR는 어느 조건이든 어느 한 조건만 참이라면 참(True)이 나오고 전부 거짓이여야 거짓(False)이 된다. NOT(..

파이썬 함수 2022.11.17

튜플과 셋 구조

튜플은 괄호 ( ) 를 사용하는 데이터 구조로써 데이터 억세스는 리스트와 완전 똑같고 데이터를 수정, 추가, 삭제는 되지 않는다. 튜플은 데이터 한개만 있을때는 튜플의 구조가 깨지기 때문에 뒤에 데이터가 없어도 ,(콤마)를 찍어야한다. 또한 숫자를 나열만 하고 컴파일 하였을때는 데이터가 튜플 형식이 된다. 셋 구조는 데이터 순서가 없으며 셋에는 동일한 값이 저장되지 않는다. 우리가 배웠던 집합과 같다. 셋은 중괄호 { } 기호를 쓴다. 셋의 데이터는 중복된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유니크한 데이터라고 불린다. 셋에 데이터를 추가할경우 add함수를 이용한다. 셋에 데이터를 삭제할경우 discard함수를 이용한다. 셋에 데이터는 유니크한 특징 덕분에 집합과 특징이 같으며 합집합,교집합,차집합등을 진행할 수 있다.

파이썬 함수 2022.11.16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기본 함수들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기본 함수들은 가로안에 값이나 데이터를 집어넣고 작동하는 방식을 가지고 있다. 1. max() 함수 :데이터내에 최대값을 구한다. 2. min() 함수: 데이터내에 최소값을 구한다. 3. sum() 함수: 데이터내의 항목의 값을 전부 더한다. 4. len() 함수: 데이터의 길이를 구한다. 5.sorted()함수: 데이터를 바꾸지 않고 내림차순으로 출력한다. 오름차순으로 바꾸려면 reverse= True를 붙인다.

파이썬 함수 2022.11.16

딕셔너리 구조와 함수

딕셔너리 구조는 기본적으로 my_dict = {'key1':'value1', 'key2':'value2', 'key3':'value3'} 이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딕셔너리는 키와 벨류가 한쌍인 구조로써 존재한다. 리스트는 인덱스의 오프셋으로 접근하지만, 딕셔너리는 키로 접근한다. 키값에도 없는 데이터는 추가가 가능하지만 없기 때문에 추가하지 않으면 참조가 불가능하다. 딕셔너리 연산 1. 딕셔너리 구조는 get함수로 억세스 한다. 다만 get()함수는 데이터가 딕셔너리 내에 없어도 에러를 일으키지 않는다. 딕셔너리 연산 2. 딕셔너리 구조는 대괄호 기호로 키의 값을 입력하여 데이터를 벨류와 함께 추가 할수 있다. 딕셔너리 구조 데이터 ['키']='벨류' 딕셔너리 연산 3. 딕셔너리 구조는 리스트 함수와..

파이썬 함수 2022.11.16

리스트 구조와 함수

리스트는 변수 1개당 1개의 데이터만 사용할 경우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변수 1개당 여러개의 값을 저장한다. 변수 = [데이터1,데이터2,....] 구조로 되어 있다. 문자열 데이터와 똑같이 인덱스 값을 가진다. 리스트 안의 값들은 여러 자료형 데이터를 저장 가능하다. 1. 리스트 만들기 변수 = [데이터1,데이터2,....] 구조로 리스트를 만들수 있다. 2. 리스트에서 값 추출하기 문자열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인덱스를 지정하여 값을 추줄할 수 있다. 리스트안에 리스트가 있을 경우 데이터억세스기호를 두번 쓰는 것으로 값을 추출할수 있다. 3. 리스트에 저장된 값 변경하기 인덱스로 접근하여 값을 변경할수 있다. 4. 리스트에 항목 추가하기 append함수와 insert함수로 항목을 추..

파이썬 함수 2022.11.15

문자열 데이터 함수

1. 문자열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데이터' 형태로 데이터내에 ''(작은따옴표)가 들어가 있을경우 ""(큰 따옴표)로 표기하게 된다. 2. 여러줄의 문자열을 표기할때는 다음과 같이 '''(작은따옴표) 3개나 """(큰따옴표)3개로 표시 할수 있다. 3. 문자열 연산자로 +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문자열은 +를 쓰면 1+1 = 2가 아닌 11이된다. 또한 연산자 사이에 " "(공백)을 넣어주면 공백을 추가할 수있다. 4. 문자열을 대문자/소문자등으로 변환할때는 upper,lower함수가 사용된다. upper() : 모든 문자열을 대문자로 변활 lower() : 모든 문자열을 소문자로 변환 5. 문자열을 규칙성 있게 분리하는 함수로 split함수가 사용된다. split() : 특정 문자열을 찾아 각각 분리,..

파이썬 함수 2022.11.15

print 함수와 input함수

print함수는 함수의 결과값등을 화면에 출력시키는 함수로써 jypter notebook은 일반적으로 함수의 결과값이 표시되지만 print함수를 쓰게 되면 문자열데이터의 따옴표등이 사라지고 여러함수의 결과값을 정상적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input함수는 유저한테서 직접 데이터를 입력받는 함수이다. 특이점으로는 데이터를 입력할때까지 함수는 계속 처리상태로 남아있는다

파이썬 함수 2022.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