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베이스(1) aws에서 데이터 베이스를 담을 서버를 만들자
우리가 데이터베이스를 담기 위해선 여태까지는 메모리에 담았지만 메모리는 휘발성이 매우 강하다. 어디 까지나 본인의 컴퓨터에 임시로 저장해놓는거기 때문에 산업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를 다루기에는 매우 부적절하다.
따라서 이번 시간부터는 데이터베이스 다루는 방법을 알아 보겠다.
데이터베이스를 다루기 위해선 메모리에 저장하는거 대신 서버에 저장해야 되는데 하드웨어로 서버를 마련하는 방법도 있지만 그건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aws같은 회사에서 온라인으로 빌려주는 서버를 이용한다. aws입장에서 서버를 빌려주는것이기 때문에 원래 비용이 발생하지만 free tier 버전을 이용하면 1년간은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해보자
우선 aws 홈페이지에 접속한다. 그리고 오른쪽 상단에 로그인을 클릭한다.
이 화면이 나오면 당연히 처음이니까(기존에 회원이라면 다음단계로) 계정을 새로 만든다. 계정을 만들때는 국제결제가 되는 비자카드 기능이 포함된 카드를 등록해야 하며 잔고에 100원이 있어야한다. 계정을 만들고 루트사용자로 로그인한다.
로그인하면 원래는 아무것도 안보이는데 일단 오른쪽 상단에 지역을 서울로 바꿔준다
서비스를 눌러보면 메뉴중에 데이터 베이스에 들어가서 RDS를 클릭한다.
그러면 대시보드에서 데이터베이스 생성을 누른다.
데이터 생성 방식에서 표준 생성을 선택하고 엔진 옵션은 MySQL를 선택한다.
템플릿에서는 꼭 프리티어를 설정하자 지금까지 설정 값을 잘못하면 돈이 나가기도 하지만 이부분을 잘못 선택해도 돈이 나간다.
사용자이름과 암호를 설정해야 하지만 이름은 왠만하면 건들지 말자 암호는 8자 이상이면 된다. 암호를 꼭 기억하자
다른건 건들지 말고 추가 연결구성을 누른다.
퍼블릭 억세스를 예로 한다. 아니요면 데이터 베이스 만들어놓고 접속 할 수 없다.
이제 쭉 건들거 없이 데이터베이스 생성을 누르자
누르게 되면 10분 동안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DB식별자와 뒤에 나올 엔드포인트를 잘 복사 해두자
10분이 지나서 생성이 마무리 되면 엔드 포인트를 복사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