튜플은 괄호 ( ) 를 사용하는 데이터 구조로써 데이터 억세스는 리스트와 완전 똑같고
데이터를 수정, 추가, 삭제는 되지 않는다.
튜플은 데이터 한개만 있을때는 튜플의 구조가 깨지기 때문에 뒤에 데이터가 없어도 ,(콤마)를 찍어야한다.
또한 숫자를 나열만 하고 컴파일 하였을때는 데이터가 튜플 형식이 된다.
셋 구조는 데이터 순서가 없으며 셋에는 동일한 값이 저장되지 않는다. 우리가 배웠던 집합과 같다. 셋은 중괄호 { } 기호를
쓴다. 셋의 데이터는 중복된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유니크한 데이터라고 불린다.
셋에 데이터를 추가할경우 add함수를 이용한다.
셋에 데이터를 삭제할경우 discard함수를 이용한다.
셋에 데이터는 유니크한 특징 덕분에 집합과 특징이 같으며 합집합,교집합,차집합등을 진행할 수 있다.
반응형
'파이썬 함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건문 if (0) | 2022.11.17 |
---|---|
비교연산자와 논리연산자 (0) | 2022.11.17 |
join 함수 (0) | 2022.11.16 |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기본 함수들 (0) | 2022.11.16 |
BOOLEANS의 의미 (0) | 2022.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