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대시보드를 본격적으로 하기 위해서 사용할 소프트웨어는 다 설치했고 이제 툴만 설치하면 된다.
아나콘다 프롬프트를 열고 자신의 가상환경에 들어가
pip install streamlit
이 코드를 치고 엔터를 누른다.
그럼 설치가 되고 설치가 완료되면
아나콘다 프롬프트를 나오고
visual studio code를 연다.
열고 newfile 버튼을 누르고 파이썬 문으로
# 스트림릿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기 위한 임포트문 작성
import streamlit as st
# 웹 대시보드 프레임워크인, 스트림릿은
# main 함수가 있어야 한다.
def main() :
st.title ('헬로우')
st.title ('개발 프로젝트')
if __name__ == '__main__' :
print(__name__)
main()
위에 코드를 작성한뒤 밑에 터미널에 'streamlit run 새로만든 파일명.py' 을 쓰고 엔터를 누른다. 그럼 웹페이지가 브라우저를 통해 실행되면서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뜨면 설치가 완료된것이다.
반응형
'웹대시보드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대시 보드 개발(7) 스트림릿의 다양한 UI 함수(4) (0) | 2022.12.14 |
---|---|
웹대시보드 개발(6) 스트림릿의 다양한 UI 함수(3) (0) | 2022.12.13 |
웹대시보드 개발(5) 스트림릿의 다양한 UI 함수(2) (0) | 2022.12.13 |
웹대시 보드 개발(4) 스트림릿의 다양한 UI 함수(1) (0) | 2022.12.13 |
웹대시보드 개발(1) 소스코드 버전 관리를 위한 Git과 Github.com 사용법 (0) | 2022.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