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은 길지만 사실 코드 하나만 바꾸면 된다. validation 파라미터로 validation_split을 쓰는 회사가 있고 validation_data를 파라 미터로 쓰는 회사가 있기 때문이다.
어떤 코드만 바꾸면 되냐면
# 학습시 validation_split 대신 validation_data를 써준다.
# validation_data의 파라미터는 X_test,y_test이다.
epoch_history = model.fit(X_train,y_train,epochs=10,
validation_data=(X_test,y_test))
validation_data는 파라미터로 X_test,y_test 쓴다.
반응형
'딥러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딥러닝(12)CNN의 구조 (0) | 2022.12.30 |
---|---|
딥러닝(11) 텐서플로우의 모델을 저장하고 불러오는 방법 (0) | 2022.12.30 |
딥러닝(9)Flatten 라이브러리 없이, 이미지를 평탄화 하는 방법 (0) | 2022.12.29 |
딥러닝(9) 텐서플로우의 콜백클래스를 이용해서, 원하는 조건이 되면 학습을 멈추게 하는 코드 (0) | 2022.12.29 |
딥러닝(8)에포크, 학습데이터/벨리데이션데이터와 오버피팅 (0) | 2022.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