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에 글에서 다 적용이 되었다면 이제 테스트 해볼 차례다
일단 테스트에 앞서 웹대시보드를 활용할 레포지토리를 github desktop를 통해 변경사항을 pull로 본인의 데스크탑에 적용한다. 앞선 글에서 github에서 설정을 완료했다면 변경사항이 반드시 있을것이기 때문에 반드시 이작업을 해줘야 한다.
적용을 완료했다면 visual code studio에서 streamlit 웹대시보드 코드에서 아무거나(streamlit에 나올만한것으로) 추가해준다.
바로 실행하지 말고 github desktop으로 github에 pull해준다. pull해준뒤 putty를 실행해서 streamlit를 실행해본다. 실행할때 streamlit 서버에 반영이 되지 않기 때문에
이렇게 써줘야 한다.
nohup streamlit run app.py --server.port 8501 --server.runOnSave true &
putty에서 git명령어를 실행하지 않고도 github에서 pull 하자마자 바뀐것을 알수 있다.
반응형
'웹대시보드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대시보드 개발(17) github actions로 putty에 접속하지 않고 소스코드 ec2서버에 바로 push하기(1) (0) | 2022.12.20 |
---|---|
웹대시보드 개발(16) FTP로 ec2서버에 바로 파일 보내기 (0) | 2022.12.19 |
웹대시 보드 개발(15) ec2서버에서 웹대시 보드 포트를 정해주고 여러개 개시하기 (0) | 2022.12.16 |
웹대시 보드 개발(14) ec2서버에서 웹대시보드 개시하기 (1) | 2022.12.14 |
웹대시 보드 개발(13) ec2서버에서 가상환경 구축하기 (0) | 2022.12.14 |